시인 이정록 교수 서재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 시인, 지율 이정록 시인이, 지친 벗님께 시의 고혹한 향기를 드립니다.

시인 이정록 교수 - 티스토리 자세히보기

두 새해

시인 이정록 교수 2019. 2. 5. 07:44

 

 

 
기해己亥년 설날을 맞이하여
차고 넘치는 행복을 누리시기 바라며 이루시고자하시는 소망들이 성취되시고
만사형통하시기를 기원 드립니다.

새해에는 더욱 더 건강하시고
가내에 행운이 함께하시고
만복이 깃드시기를 축원드립니다.
문운창대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샘문학 회장 이정록 拜上
 
**************
 
두 새해
 
    이정록
 
우리는 일 년에 두 번의 새해를 맞습니다
한 번은 양력의 새해요
또 한 번은 음력의 새해입니다
우리는 서양과 동양을 동시에 경험합니다
음양은 한 우주 안에 있을 뿐인데
음과 양을 둘로 나누는
잘못된 편견과 집착을 갔습니다
 
인류의 권력 질서에 따라
헤게모니라는 주도권력 다툼에 따라
강요되기도 하였습니다
달을 기준으로 하는 천문학과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천문학이
동서양으로 대표되는
권력 국가 패권 다툼에 의해 강요되어
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통치철학 차원에서 자신들의 문화나
철학, 과학을 기준으로 자치령 민족들의
문화나 철학 과학을 말살하고
자신들에 것을 강요하고 주입하여
통치하는 차원에 기준점으로 삼았던 것으로
대표 되였던 것 중 하나가
달력이란 것도 있지요
 
달을 기준으로 삼든
태양을 기준으로 삼든
우주에 이치는 자연의 이치는 순환은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집안에서 아버지가 가장을 하던
어머니가 가장을 하던 집안은 똑 같은
집안인 것과 같은 이치이고
다만,아버지(양) 어머니(음)간에
주도권 다툼만 있을 뿐이지요
이 또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수천 년
이어졌지요
 
양력이든  음력이든
인연 따라 풍속 따라 철학 따라 하세요
한 번을 지내든 두 번을 지내든
양을 택하든 음을 택하든
신념대로 편하게 하면 되는 것이고
양력의 새해는 신정이라하고
음력의 새해는 구정(설날)이라 하지만
신,구는 한 우주 안에 있는 것일 뿐
 
오늘날 우리의 화두이고
갈등이고 반목하는 보수와 진보 또한
편견이 아닐까요?
인류는 인간은 자신의 우주 안에
보수와 진보가 양과 음이 다 존재하지요
상황에 따라 그때 그때 경제력에 따라
가처분소득에 따라
표출되는 값이 다른 뿐,
 
우리는 늘 새로운 꿈을 꿔야하며
고여서 썩은 물이 되기 보단 흘러서 세상을 맑게하는 물이 되어야 합니다
두 번의 새해를 맞는 뜻은
우주철학이 자연철학이 우리에게 전해준 새해의 참된 의미입니다
기해己亥년의 양력의 새해가 지나고
음력의 새해인 설날이 오는 뜻은
편견과 집착의 삶이 아닌
항상 깨어서 일체의 평등심을 열라는
하늘의 신호이며 가르침이고
우주를 사유하는 철학이 전해준
사랑과 관심의 배려입니다
           
***********
       
승목 어록 98
 
한 해에
두 신년 아침을 맞이하는 것은
우리의 홍복이다
 
하늘의 이치
자연 순환의 이치를 고루 체득하거나
접목함은 우리 인류의 지혜이고
 
우주 안의 개채들로서
높은 선상의 철학과 융합의 이치를
사유하고 섭렵하여 누리는
큰 축제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연의 의미와 말의 함수관계  (0) 2019.06.25
안부  (0) 2019.02.11
설중홍매  (0) 2019.01.21
태산에 올라야겠습니다  (0) 2019.01.01
성스런 사랑  (0) 201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