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정록 교수 서재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 시인, 지율 이정록 시인이, 지친 벗님께 시의 고혹한 향기를 드립니다.

시인 이정록 교수 - 티스토리 자세히보기

삶의 고뇌

시인 이정록 교수 2016. 8. 19. 23:48

 

 

 

 

 

 

 

 

 

 

 

 

- 삶의 고뇌 -

 

 

                   승목 이 정록

 

 

 

인생을 살면서

어떤이는 그 답을 찾지못해

그저 헛되이 사위어 가고

.

 

어떤이는 어렴풋 하게나마

그 답의 겯가지를 찾아 들어

끝없이 수행하여

득도의 끝을 향해

자신의 영혼을 불사르는

길을 갑니다

.

 

자신의 본성과 자아

초자아를 향한

진정한 정체성 회복을 넘어

공동채 인류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철학적, 종교적 수행자들의 고행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어져 오고 있지요

.

 

이드는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요소로서

삶을 살아가는 우리 인간들의

현실 원리의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 하지요

.

 

대상의 세계와 구별되는

인식 행위의 주체이며

체험 내용이 변해도

동일성을 지속하여

반응,체험,사고,의욕의

통일체로서

.

 

에고 즉,

주관적 삶

주체적 삶

자아 의식적 삶을

살아 가지요

.

 

무엇을 비워야 하고

무엇을 채워야 하는지는

이드의 철학적 사유의 따라

.

 

오로지 자신이 답을 구해야 하는

소명을 가지고 살지요

.

 

간접적 교육과 탐구,

인용하는 접근으로서는

한계적 제약이 있을수

밖에 없지요

.

 

다만 빠른 시일내에

표본적 조사나

진리적 정의를 끝내고

.

 

자신만의 톡특한

삶의 세계를 탐색하고

탐구하고

진리적, 철학적 정의를

내려가는 고행의 길을

수행자들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는 가고 있는 것이지요

.

 

그래서 시를 치는 시인도

그중 하나 겠지요

.

 

그 무엇을 찾아

그 답을 구하고저

그 끝이 어디인지

끝없는 자신과의 치열한

공방이 거듭되는 길을

가고 있는것이 아닌지 하는 자문

.

 

감이 한마디 일성 하자면

삶이란,

현재 자신의 삶이 답이라

생각 해 봅니다

다양성 이지요

.

 

세상사 한사람도

똑 같은 삶이 없습니다

자신의 삶을 성실하게

살아가는 이드적 삶

.

 

또한,

주체적 삶

양심적 삶

체험적 삶속의

겸손한 비움의 삶을 살다보면

비워진 그릇속에

느끼며 살아가는 행복이

체워지는 행운을

맛보는 삶이지 안나

얼치기 시인 감히 세상

거들어 봅니다

 

 

 

                 2016.04.25

 

 

 

 

              Photo  by  Artemi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로운 초상  (0) 2016.08.22
이슬도 사랑인 것을  (0) 2016.08.21
달을 품은 다슬기  (0) 2016.08.18
여심의 고백  (0) 2016.08.17
꿈같은 사랑  (0) 2016.08.12